
track back에 대해…
October 20th, 2003
말로는 트랙백이다, 핑백이다 쉽게 이야기하지만 개념적으로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한 적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. 다른 계정에 MT 를 깔아놓고 트랙백을 보낸 뒤 ‘아 대충 이런거구나’하고 어림짐작만 하고 있을 뿐이다. 내가 굳이 pMachine을 깔아놓고 다른 대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블로그(이를테면 네이버블로그나 엠파스의 그것)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제약도 받아서는 안된다는 일종의 신념 같은 것 때문인데, 무지로 인해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에 제약을 받는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.
egloos.com은 그런 면에서 참 독특하다. 상업사이트를 지향하는 것 같긴 한데 ‘관련글’이라는 명칭으로 트랙백을 지원하다. xml로 export까지 해준다니 대견하기까지 하다. 사실 KLDP에서도 아무런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긴 한데 사이트의 성격상 당연한 듯이 받아들여졌다. 암튼 이글루에서 트랙백에 관한 좋은 설명이 있어 옮겨 온다. 이것도 트랙백을 보내줘야 하나? ^^;
요모조모 뜯어보니 이글루도 drupal로 만들었다. 과연 OpenSource의 힘은 위대하다.
굵은 글씨는 이글루의 글을 약간 편집한 것이다.
트랙백은 공개 규격으로 2002년 8월에 최초로 발표가 되었으며 이 규격은 국제규격으로 서로 다른 서비스 혹은 프로그램간의 트랙백 핑 호환을 가능하게 합니다. 맨 처음 트랙백 기능이 적용된 프로그램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로그 툴인 무버블타입 (Movable Type) 2.2 버전이었습니다. 그 후 여러가지 해외의 블로그 툴에서 이 기능을 채택하였고, 현재는 Movable Type, Nucleus, B2 블로그 등의 여러 블로그 프로그램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트랙백의 기본 개념은 “어느 특정 글에 연관된 내용의 글을 내가 작성함에 있어서 그 사실(글이 작성된)을 알리는 것”으로 보시면 됩니다.
▲ 트랙백의 구조 : 블로그 A의 특정글에 대해, B,C,D,E 에서 관련된 글을 적은 내용이 A의 글 하단(혹은 다른 포함된 형태를 통해) 링크로 엮어져 있습니다.
글 A에 보여지는 관련글의 내용은 1. 블로그 제목 2. 관련글 제목 3. 트랙백날짜 4. 내용 일부 입니다.
다음은 실제 이글루에서 트랙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준다.
내 블로그에도 코멘트란 바로 위에 트랙백 주소가 있으니 애용해 주시라!!!
이글루의 주소는 http://egloos.com 이니 블로그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한 번 방문해봐도 무방하다. 이와 동일한 서비를 제공하는 곳이 http://blog.kldp.org 가 있다. 겉모양은 상당히 다르지만 모두 같은 툴을 사용하고 있다.
추천은 하지 않지만 naver블로그도 깔끔하고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. 그 깔끔함에 매료되어 나도 방한칸 얻어두었다. 물론 운영은 하지 않는다. 이를테면 가라사무실인 것이다. 주소는 http://blog.naver.com/amadoyou.do
October 21st, 2003 at 2003-10-21 | pm 11:31
복잡하오…..ㅇㅇ
October 22nd, 2003 at 2003-10-22 | am 01:02
나두… -.-;;
October 20th, 2003 at 2003-10-20 | pm 10:58
트랙백
OK?
November 4th, 2003 at 2003-11-04 | am 08:02
Blog가 다른데 트랙백이 될까?
제발..한번 해보장..
December 3rd, 2003 at 2003-12-03 | am 03:14
ok..
대장금
ok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