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어.. 어.. 어….
June 17th, 2009
글쎄… 나이 서른 중반을 넘어서 어른이 된다는 걸 고민하는 나는 도대체…..
Qhd
June 11th, 2009
가령, 상상해본다면 이런거다. -의학적 판단을 차치하고-
내 몸은 한계치에 다다랐다. 그렇다면 나의 뇌는 당연히 내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휴식을 취해 체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할 것이다. 휴식이 불가능 할 경우 나의 뇌는 본응에 따라 엔돌핀을 발생시킬 것이다. 내 몸이 가지는 피로와 고통을 잠재워 줄 것이다. 자…. 나는 엔돌핀에 취해 평소의 나라면 할 수없을 그런 행동을 할 수 있을까? 코카인같은 향 정신성 물질을 우리는 터부시 하지만, 내 안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은 어떻게 할 것인가? 웃으면 나오는 게 엔돌핀이라고? 중독은 외부에서뿐이 아니라 내부에서도 올 수 있다.
그나저나, 운동하자. 배는 집어 넣어야지. 시작도 못한 시점에서 엔돌핀 중독을 운운하기에는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좀 역겨웁지 않더냐?
Leave a Reply
happy birthday to me.
June 7th, 2009
기억속에 존재하는 근 몇 년간의 생일은 언제나 나혼자.
그나마 올해는 사탕 한 개 선물이라도 있으니 다행인건가.
우울함이 중첩되는 날. 그래도 어차피 생일이니까.
나는 나를 이해하니까…
Leave a Reply
NOT . BUT &
May 23rd, 2009
…..
Leave a Reply
나는 찌질하다.
May 7th, 2009
Pixelpost를 깔짝거리며 이리저리 사진을 올리다가, 난 참 찌질하구나 하는 생각에 손발이 오그라든다. 참 웃기지도 않게 개나소나 무거운 DSLR을 걸치고 다니며 셔터를 날리는 좋은 시대가 도래하였으니, 그 덕에 나도 분수에 맞지 않는 취미를 가지게 되었다. 무심코 날린 셔터는 어디로 사라지지도 않고, 외장하드 폴더안에 고스란히 남아있다. 노출이니 구도니 따지며 논하는 것은 좀 더 그럴싸한 아마츄어에게나 통하는 법. 무식하고 허섭한 내 사진속에서 그런 고매한 단어들은 도무지 설 자리가 없다. 수년 전의 사진을 -약간의 비웃음과 쪽팔림을 수반하면서- 보며 얼굴은 붉어지지만 추억과는 약간 다른 아련함 같은게 느껴진다. 그래, 나는 찌질하다. 개나 소나 들고 다니는 DSLR을 들고 다니는 나는 개나 소일지도 모른다. 하지만 내 시간, 내 기억까지 흔해 빠진것은 아니다. ㅋ 그래서? 어쩌라고?
Leave a Reply
MY OWN PRIVATE IDAHO.
May 2nd, 2009
정확한 대사는 기억나지 않는데, “기면증이란게 그런거야”, ‘바다 쪽으로, 한 뼘더’ 광고영상에 나오는 대사한마디가 옛 영화를 떠올리게 만들었다. ‘기면발작증’ 이란 낯설은 병명을 머리속에 꾸겨넣었던, 그 영화 아이다호.
이 무지막지한 완전 성인용 영화가 10분정도 삭제되어 청소년용으로 개봉되었던 1991년, 난 친구와 극장에 앉아 이 난해한 영화를 보았다. 많은 것을 아는 척해야 했던 그 어린 나이에 이 영화가 주는 뭔지 모를 동경과 낯설은 충격에 한참을 자리에 남아 있었다. 가령 죽은 시인의 사회나 볼륨을 높여라 같은 류의 스트레이트한 영화와 대비되는 모호한 영상과 아스라한 그리움 같은 참 설명하기 힘든 감정이다.
끝없이 이어지는 길 위에 쓰러져 있는 리버 피닉스. 노란색 들판은 끝없이 펼쳐지고… 그가 사랑하는 사람. 살아가는 방식이 달라 헤어질 수 밖에 없는 슬픈 사랑이야기.
Leave a Reply
컵을 깨다.
May 1st, 2009
어떤 곤란한 상황에서도 물의 양을 기가막히게 맞출 수 있을 정도로 오래 사용하던 컵을 그 순간의 판단미스로 깨 버렸다. 컴컴해 질 무렵인지라 무슨 불길한 기운을 느끼지는 못했다. 아침에 그랬으면 하루종일 안절부절했겠지. 간밤에 먹은 술이 하루종일 내안에 있어,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날이었다. 모든게 지겨워, 귀찮고…
Leave a Reply